top of page
  • 정상원TV

트리밍과 노 트리밍(Trimming & No Trimming)


앙리 까르띠에 브레송 사진(사진 가장 자리에 있는 검은선이 노트리밍을 나타낸 선이다.)

필름사진에선 자주 듣는 말이었습니다. 그러나 디지털 사진에선 트리밍이란 말보다는 크롭(Crop)이란 말로 자주 사용됩니다. 트리밍과 크롭은 의미 자체는 비슷합니다. 그러나 엄격하게 말하면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트리밍은 원본의 크기는 변화시키지 않고 인 화시 필요 없는 부분을 잘라내는것을 트리밍이라고 한다면 크롭은 완성된 사진에서 필요 없는 부분을 잘라내서 마무리 하는 일입니다. 다시 말해 크롭은 사진 자체의 크기가 작아지게 되는 것을 의미했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트리밍이란 말보다는 크롭이란 말로 많이 사용합니다. 두 단어가 통합된것이라 보면 맞을 듯 합니다.


아무튼 트리밍이든 크롭이든 단어 자체의 의미는 크게 문제가 되질 않습니다. 문제는 우리가 사진을 하는데 어떤 영향을 주는가에 있습니다.


트리밍과 노트리밍에 대표적인 사진가가 있습니다.

첫 번째 사진을 공부하다보면 약방의 감초처럼 자주 듣는 사진가가 입니다. 바로 앙리 까르띠에 브레송입니다. 결정적 순간 이란 사진 적 미학을 만든 장본이기도한 브레송은 사진가의 역할은 셔터를 누르는 순간에 다 끝난다고 했습니다. 다시 말해 촬영 후 후보정 작업을 통해 원본을 훼손하는 일은 사진을 죽이는 일이라는 말로 그의 사진철학을 대변 합니다. 그것을 강조하고자 그는 사진에 검정 테를 둘러 인화를 했습니다. 그것이 바로 노트리밍테 입니다. 촬영순간에 모든 것을 결정하고 촬영했다는 점을 강조 한 것입니다. 짧은 지면 관계로 노트리밍선을 넣는 방법을 여기서 거론 하진 않겠습니다.


두 번째 사진가로 아놀드 뉴먼입니다. 그는 인물사진가 입니다. 그의 닉네임은 환경적 인물사진갑니다. 그의 사진을 보면 인물이 누구인지 잘 몰라도 그 인물의 직업을 대충 짐작이 가기 때문에 붙은 별명입니다. 이 아놀드 뉴먼은 쵤영후 자신이 원하는 내용으로 사진을 트리밍 했습니다. 요즘말로 하면 크롭입니다. 불필요한 부분은 과감하게 없애버리고 필요한 부분만 남기는 방법으로 트리밍을 한 것입니다. 이런 사진의 대표적인 사진이 러시아의 대표적인 음악가 스트라빈스키를 촬영한 사진입니다.


아놀드 뉴먼의 스트라빈스키 사진의 원본(트리밍 전) 과 트리밍 사진

트리밍을 하고 안하고가 중요한건 아닙니다. 또 어느게 맞다 안 맞다 라고 단정 짖지도 못합니다. 어느 방법이든 사진가의 입장에서 나름대로 자신의 철학에 맞는 방법을 선택하면 됩니다.

그러나 여기서 중요한건 사진을 배우는 입장에서 보아야 한다는 점입니다. 사진을 배우는 입장에서 본다면 앙리 까르띠에 브레송의 방법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브레송의 결정적 순간은 빛, 구도, 감정이 일치하는 순간에 셔터를 눌러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 말은 촬영 전에 모든 것을 준비하고 자신이 원하는 순간이 나타나면 촬영을 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 것입니다. 촬영후 부족한 부분을 정리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촬영을 하다보면 안일한 촬영을 하게 됩니다. 많은 게 부족한 촬영이 되기 쉬워진다는 말입니다. 우리말에 세살 버릇 여든 간다는 말이 있습니다. 시작이 반이라고 했습니다. 사진에 대한 본질을 알고 기초가 다져진 후에는 어떤 방법을 사용해도 무방합니다. 그러나 깊이 있는 사진을 원하고 오랫동안 사진을 하고 싶다면 브레송의 방법을 몸소 실천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생각합니다.


コメント


  • 정상원TV
  • sajintour
  • 정상원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탄중로  대표:  정상원
사업자등록번호 179-44-00921 통신판매업 제2022-고양일산서-1866호 
​상담:  010-5967-2641  email :yeijisajin@gmail.com

© 2020 by Onlinephoto All Rights Reserved.

bottom of page